안녕하세요 Jaykim입니다.
오늘은 공공기관 채용정보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유용한 사이트(공공기관 채용정보시스템, 잡알리오)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요즘 코로나19로 취업시장도 많이 얼어붙었는데요.
공공기관은 기관의 안정성, 낮지 않은 급여수준 등으로 많은 취준생들이 가고 싶어 합니다.
많은 취준생들이 네이버나 다음 카페에서 채용정보를 많이 접하시는 걸로 아는데요.
그래도 공식적으로 채용공고가 올라오는 사이트 하나 더 알고 있으면 좋지않을까요?
따라서 오늘은 국가에서 직접 운영하는 공공기관 채용정보시스템(일명 "잡 알리오(JOB-ALIO)")에 대해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우리나라 기획재정부에 의해 지정된 공공기관은(공사, 공단 등등) 공개채용을 할 경우에는 반드시 이 사이트에 채용공고를 올려야 합니다. 따라서 모든 공공기관의 채용공고가 올라온다고 볼 수 있죠. 공공기관 취업에 관심이 있는 취준생이라면, 주기적으로 접속하여 채용공고가 나왔는지, 이전 채용공고에는 어떤 내용이 담겼는지를 확인한다면 취업 성공률이 올라가겠죠?
먼저 공공기관 채용정보시스템(JOB-ALIO) 사이트에 접속합니다. https://job.alio.go.kr/home.do
(링크가 열리지 않는다면 검색창에 "잡알리오" 검색)
이어 '공공기관 채용정보'를 눌러줍니다.
<공공기관 채용정보시스템 메인화면>
공공기관 채용정보 탭에서 희망하는 채용분야, 근무지, 고용형태, 채용구분, 학력정보, 대체인력유무, 등록일, 기관명(특별히 원하는 기관이 있다면), 상태, 제목 등을 입력하면 검색이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2020년 4월 현재 진행중에 있는 근무지에 서울이 포함된 정규직 채용정보를 검색해봤습니다. 현재는 조건에 맞는 채용공고가 2개 올라와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여기서 검색할 때 알아두면 좋은 내용을 설명드릴게요.
먼저 근무지는 본인이 희망하는 지역을 체크하면 되고요. 다만, 최근들어 지방균형성장을 위해 공공기관들이 지방으로 많이 이전을 했습니다. 서울시 및 수도권에 남아있는 공공기관의 숫자는 점점 줄어들고 있습니다. 물론 대부분의 공사, 공단이 전국적으로 지사를 보유하고 있지만, 대부분 일정 주기로 순환근무를 하기 때문에 사실상 공공기관에 취업을 희망하고자 한다면, 이런 순환근무는 어느정도 각오를 하셔야합니다.
극단적으로 서울에서 근무하다가 5년 뒤 부산으로 발령을 받을 수 있으니까요. 이런 순환근무가 싫다면, 각 지방자치단체(서울시, 경기도 등)가 설립, 운영하는 지방공사, 공단에 취업하시면 됩니다 (예시: 서울주택도시공사, 경기주택도시공사, 부산교통공사 등).
다음으로 고용형태입니다. 우리나라의 모든 기관에서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고용형태가 존재합니다. 정규직은 흔히 말하는 가장 일반적인 고용형태입니다. 공공기관의 경우 대부분 정년이 보장되고, 일정 경력이 쌓이면 승진도 하고 보수도 상승하는 구조입니다.
무기계약직은 최근 이슈가 되는 기간의 정함이 없는 계약직입니다. 기한의 정함이 없기 때문에 정년이 보장되지만, 어느정도 승진과 임금 상승에는 제약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청년인턴(체험형)은 말그대로 청년을 대상으로 인턴(보통 1년)으로 고용을 하지만 체험형의 경우에는 정규직 전환은 불가합니다. 말그대로 1년동안 해당 업무를 체험하고 계약이 종료되는 형태입니다.
청년인턴(채용형)은 체험형과 비슷하게 청년인턴이지만 소정의 인턴기간이 종료되면 적정한 평가를 거쳐 정규직으로 전환이 되는 형태입니다. 최근 다수의 공공기관들은 바로 정규직으로 채용하기보다는 채용형 청년인턴으로 뽑아서 전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구직자 입장에서는 해당 업무를 미리 경험해볼 수 있고, 기관 입장에서는 실제 업무환경에서 구직자를 평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채용구분은 신입은 말그대로 어떤 경력사항도 요구하지 않는대신 신입직원(막내)으로 채용하는 것이고, 경력은 특정 경력사항을 요구하는 대신 신입직원이 아닌 경력직원으로 채용하는 것입니다.
학력정보는 채용시 요구하는 학력을 의미합니다. 최근 공공기관은 지원자의 학력을 보지 않고 실력으로 선발하는 일명 블라인드(Blind) 채용을 대부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부분 공공기관에서는 별도로 학력을 요구하진 않으나, 대부분 정규직의 경우 대졸(4년) 이상은 최저 지원자격으로 요구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대졸(2~3년)과 대졸(4년)의 차이는 전문대와 일반대의 차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대체인력유무는 해당 채용공고가 해당 기관에서 결원이 발생하여(육아휴직 등), 그 자리를 임시로 대신할 사람을 뽑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대체인력유무에 "예"로 체크되어 있는 채용공고는 계약기간이 정해져 있는 채용이 될 것 입니다. 왜냐면 육아휴직에서 돌아오면, 그 자리를 대신할 사람은 이제 필요가 없기 때문이지요.
등록일, 기관명, 상태 및 제목은 특별히 설명을 하진 않겠습니다.
이제 검색이 되어있는 공고를 클릭하면, 채용정보가 나오게 됩니다. 알리오가 좋은 점은 전형단계별로 채용정보가 표기되고, 이미 종료된 공고 또한 검색할 수 있기 때문에 내가 목표로 하는 기관의 과거 채용공고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어떤 자격을 요구하는지, 어떤 시험을 보는지에 대해 미리 파악하고 대비를 할 수 있게 됩니다.
또한 당연히 채용공고와 홈페이지 또한 링크가 있어 바로 접속하여 확인도 가능하단 장점이 있습니다.
정보를 많이 가질수록 유리하다는 말은 취업 시장에서도 당연히 해당됩니다.
정보를 많이 가지고 있을수록 준비를 많이 할 수 있기 때문이죠.
그럼 좋은 정보 많이 얻으시고, 원하시는 바 이루시길 바라겠습니다.
끝.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 애드센스 승인 후기 및 티스토리 연동 방법 (11) | 2020.04.26 |
---|---|
구글 애드센스 신청결과 후기(코로나19) (0) | 2020.04.06 |
신차 구매시 가격표 및 옵션 보는법2 (옵션 설명) (0) | 2020.04.01 |
신차 구매시 가격표 및 옵션 보는법1 (올뉴 아반떼) (0) | 2020.03.30 |
구글 홈 미니(Google Home Mini) 무료 프로모션 신청 및 개봉기 (0) | 2020.03.29 |